본문 바로가기

북한 코로나 확진자 전혀 없는가?

지구촌 소식 (번역) 2020. 5. 1.


코로나 확진자 현황, 사실인가?

2012년 한국으로 탈북한 최정헌 내과의사는 "시험용 키트도 없고 오래된 장비도 없이 겨우 급여를 받아 북동부 종진시에 있는 동료 의사들과 함께 환자가 사망한 후에도 누가 이 병에 걸렸는지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지역 보건 당국자들은 사례를 확인하거나 평양의 중앙 정부에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지 않았다"고 최정헌 내과의사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주요 질병 발생을 인정하지 않고, 의료 인프라가 파괴되고, 김정은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어떤 잠재적 위협에도 극도로 민감하다는 것은 북한이 현재의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을 같은 방식으로 다루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이로 인해 감염 제로라는 북한 현황의 주장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었다.


최씨는 "거짓말이다. 해마다 계절마다 다양한 전염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지만 북한은 아무런 발병도 없다고 말한다."


외부인들은 240만 명 이상이 감염된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장 중요한 교역국이자 최대 원조 후원국인 중국과 길고 다공성 국경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북한으로 확산된 것으로 강하게 의심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12월 처음으로 알려진 코로나바이러스 환자가 발생한 곳이다.


예방 조치로 수만 명을 격리하고 학년을 늦춘 북한은 지난 1월 중국과의 국경을 공식 봉쇄했지만 국경을 넘어 밀수는 여전히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서울의 행동주의 단체들은 북한의 접촉으로부터 사람들이 바이러스로 죽었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아직 북한의 대량 감염에 대한 믿을 만한 외부 보고는 없지만, 북한의 엄격한 정보 통제 덕분에 북한의 검역 체제가 성공적이었다고 권위 있는 외국 전문가들이 거의 주장할 수 없게 되었다. 싱가포르에서 볼 수 있듯이 코로나바이러스는 다시 급증할 수 있으며, 북한의 강력한 정치국은 지난 주 반유전 단계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확진자를 진단할 수 없는 현황일 것

"나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죽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 환자를 진단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에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고 김신곤 고려대 의대 교수가 말했다. 그는 북한이 중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고 말했으며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2400만 인구 중 약 40%가 영양실조라고 한다.


러시아 외무부는 지난 2월 북한에 1,500개의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키트를 기증했다고 밝혔으며, 중국에서도 비슷한 키트가 선적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유니세프, 국경없는의사 등 일부 구호단체는 장갑과 마스크, 고글, 손위생용품 등을 북한에 보냈다고 밝혔다.


북한 본보는 최근 공중보건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칭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김정은의 헌신적인 노력이 감염이 없는 이유라고 전했다.


북한의 사회주의 무상 의료 서비스는 1990년대 중반 경제적 혼란과 수십만 명의 사망자를 낸 기근 속에서 붕괴되었다. 최근 몇 년간 김정은은 경제가 좋아지면서 병원을 새로 짓고 일부 의료시설을 현대화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의료혜택은 지배 엘리트에게 돌아간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최근 한 연구에서 인터뷰한 수십 명의 난민들은 김정은 아래에서 북한의 건강관리 시스템이 더 열악해졌다고 느꼈다고 탈북민 출신 민하주씨가 말했다. 그녀는 국가 배급 체계가 무너지면서 민간 경제가 급성장했기 때문에 의료 서비스 측면에서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에서 근무한 의사 최모씨는 월급이 쌀 2kg(4.4파운드) 정도라며 시장에서 어떤 약을 사야 하는지 알려주는 대가로 환자들로부터 담배를 받았다고 말했다.


서울에 본부를 둔 NGO 굿 파머스 소속의 전 북한 관리인 조청희는 위염과 장염을 치료하기 위해 의사들에게 현금을 주었다고 말했다.


최씨와 조씨는 홍역, 수두,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간염, 결핵 등이 그곳에 있을 때 반복적으로 북한을 휩쓸었다고 말했다. 최씨는 발병 당시 마스크나 장갑,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았으며 1960~70년대 제작된 장비를 사용했다고 말했다.


코로나 이전에는 어떠했는가

2002-2003년 사스 사태 때, 최 교수는 청진에서 수백 명의 사람들이 8개월 동안 극심한 격리 기간 동안 독감 같은 증상을 겪은 후 사망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의사들이) 사스로 감히 사망자를 진단할 수는 없었다.


현재 고려대학교 산하 연구소의 최 연구원은 "그들의 사망 원인을 확인하라는 명령은 없었고, 진단키트도 없었다"고 말했다.


2009년 독감 대유행 당시 최 교수는 진단키트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으며, 일부 항생제를 검역소에 넣기 전에 열성 환자에게 어떤 항생제를 사용했는지를 물었다. 많은 환자들이 죽은 후, 그는 그들의 죽음이 독감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했다.


북한 관영매체는 2009년 12월 외부 지원을 얻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매우 이례적인 질병 발생을 시인하면서 평양과 신의주 서북부 국경도시에서 9명이 독감에 감염되었다고 보도했었다.


어떤 사람들은 북한이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를 가지고 있지 않고 이동과 결사의 자유를 엄격히 제한하기 때문에 큰 규모의 감염 집단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다른 많은 사람들은 모든 북한 주민들이 국가가 조직한 다양한 단체 활동에 참여해야 하며 적절한 위생 시설 부족이 발생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하면서 동의하지 않는다. 북한 방역운동의 행태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최 교수는 "북한의 의료 체계 현황은 "오래 동안 유지되지 않아 총알도 없는 부서진 녹슨 권총"이라고 말했다.


출처:

https://time.com/5824031/north-korea-coronavirus-zero-defectors/


댓글